사이트맵

월간문학

문학을 존중하고
문인을 존경하는 사회를 이루겠습니다

월간문학VOL.669

The Literature Monthly : since 2024

이 시대 창작의 산실

1 /

3

삽화 이미지
이 시대 창작의 산실 > 창작산실 산책 시초(詩秒)를 서재에서 어루만지다

장재선

서재에서 꽤 많은 글을 쓴다. 직장 업무인 신문 기사를 만들고, 문학 작품을 끄적거리기도 한다. 창작 산실이라고 하긴 민망하지만, 그 비슷한 일이 서재에서 벌어진다.몇 년 전 이사

삽화 이미지
이 시대 창작의 산실 > 무엇을 쓰고 있나 까까머리 때의 항심과 21세기 공존의 꿈

장재선

“너 이런 거 쓰면 안 된다.”윤리 교사가 나에게 나지막한 음성으로 이렇게 말했던 것이 고교 2학년 때였다. 그때 동료 학생들이 수학여행 떠났는데, 나는 가지 않았다. 이런저런 이

삽화 이미지
이 시대 창작의 산실 > 대표작 해인사에서 주식을 외4편

장재선 전북 김제 출생.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1997년 소설「긴 호흡의 노래」, 2007년 시「여름나무에 이마를 대고」등을 발표하며 등단. 시집『기울지 않는 길』, 시·산문집『시로 만난 별』, 산문집『영화로 보는 세상』등 출간. 서울경제신문을 거쳐서 문화일보 재직(1991∼현재). 한국신문윤리위원(2004∼2006), 한국소설가협회 중앙위원 (2008∼2009), 세계한글작가대회 집행위원(2019∼현재), 한국문인협회 문학생활화위원회 위원장(2018∼현재), 서울 시 문화도시위원회 위원(2023∼현재). 언론정보학회 올해의 기획상, 한국가톨릭매스컴상(본상), 임승준 자유언론상 (문학 부분), 한국가톨릭문학상(신인상), 서정주문학상 등 수상

해인사에서 주식을윤회와 탈윤회가 부처님 안에서 하나라고 법장스님 말씀하실 때 고개를 끄덕거린 후 해우소 가는 길에 뒷마당에서 휴대전화 앱으로 주식 시세를 확인하고얏호! 그

권두언: 책의 머리말

시는 늘 낯설다

김정학청소년문학가·한국문인협회청소년문학분과회장

자세히보기

부쩍 문학의 위기를 말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어디서든 책보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읽을거리 볼거리들이 많이 늘어난 탓이기도 하지만, 일반 대중들은 문학의 난해함을 먼저 말한다.난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