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2025.3 673호 누름돌

나이가 들어가면서 더욱 확실해지는 것이 있다. 앞서 세상을 사신 분들의 삶이 결코 나만 못한 분은 없다는 생각이다. 눈에 보이는 결과물로서가 아니다. 그분들이 살아왔던 삶의 날들은 분명 오늘의 나보다 훨씬 어려운 환경과 조건의 세상살이를 하셨다. 그런 속에서도 묵묵히 그 모든 어려움과 아픔을 감내하면서 자신의 몫을 아름답게 감당하셨던 것이다.요즘의 나나 오

  • 최원현수필가
북마크
172
2025.3 673호 햇빛 마시기

“마셔 보세요!”김 원장이 내놓은 것은 투명한 유리잔이었다. 묵직했다. 그러나 무얼 마시라는 걸까. 유리컵 안엔 아무것도 담겨 있지 않았다.“마셔 보세요!”다시 독촉을 해왔다.“오전에 제가 한 번 마셨으니 가득 차 있지 않을지도 몰라요.”컵을 입으로 가져가 훅 하고 들이마셔 봤다. 향긋한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도 같았다.“햇빛이에요.”

  • 최원현수필가
북마크
188
2025.3 673호 진정한 우리 찬란한 아름다움과 고귀함

내 문학의 산실은 어디일까. 아니 내 문학의 근원은 어디일까. 조실부모한 나는 누구나 갖는 것이 내게는 없다는 상실감이 어려서부터 내 가슴을 지배했던 것 같다. 전시에 친정으로 가신 어머니는 첫아들을 잃은 안타까움 속에서 1년 후에 나를 낳으셨단다. 나는 태어나 첫돌 때 아버지를, 세 살 때 어머니를 잃었다. 내 고향은 아버지의 고향이 아닌 어머니의 친정

  • 최원현수필가
북마크
173
2025.3 673호 내 생각이 살아나는 곳

내 이름으로 스무 권이 넘는 책을 냈지만 내 창작 공간에 대해선 늘 불안하다. 어떤 분들은 멋진 이름의 창작실을 소유하고 품위 있게 작품 활동을 하는데 나는 그런 공간이 없어서라기보다 게으르고 어수선하여 그러지 못하는 것 같다. 옛 선비들처럼 사실 그곳에만 들면 마음이 안정되고 머리가 맑아지고 손이 가벼워지면서 글이 슬슬 풀려나오는 곳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

  • 최원현수필가
북마크
171
2025.3 673호 AI시인이 등장하다

앞으로 문단은 AI 시인 또는 AI 문인의 등장에 관하여 진지하고 심각하게 논의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강 건너 불구경하듯 방관할 일이 아니다. AI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강 건너 불구경 하듯 AI 시인의 등장을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까닭이다. 이미 MZ세대는 AI(인공지능)를 자신들의 비서처럼 여기고 사용하기를

  • 윤재근문학평론가 · 한국문인협회 고문
북마크
297
2025.2 672호 은서의 꿈

오래전 산골마을엔 은서라는 아이가 살고 있었어요.은서는 강물의 잔잔한 흐름,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밤하늘에 별을 그림으로 담아내는 재능이 있었지요.어느 날 그곳을 지나가는 나그네는 마을의 풍경이 너무 아름다워 스케치하고 목도 축일 겸 가게에 들렀는데, 우연히 가게 벽에 걸린 그림을 보게 되었어요.그림을 보는 순간 깜짝 놀라며 물었어요.“아주머니, 저 그

  • 손영순(김해)
북마크
87
2025.2 672호 백마가 내려온 산

십이 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말띠 해’ 새벽이 되면, 동네 뒤 바위산에는 백마(흰 말)가 내려왔습니다.하늘나라에서 내려온 그 백마는 산봉우리 바위에 엎드려 혼잣소리로 중얼거렸습니다.‘이번 사흘 동안에는 나처럼 온몸이 하얀 여자 아기가 태어나야 할 텐데.’하늘나라 백마는 인간 세상의 먹이를 먹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아무것도 먹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흘

  • 조평규
북마크
92
2025.2 672호 수필의 구성요소와 상상력

수필의 구성 요소한 편의 수필이 문학 작품으로 가치를 지니려면 몇 가지 필요한 구성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흔히 수필은 그 형식이 자유롭고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라고만 생각해 수필에서는 구성 요건들이 필요 없는 것처럼 여기는 경우도 있다. 물론 수필은 그 형식이 자유롭고 어떠한 제한이나 구속성이 적은 문학 장르이고 또 ‘수필은 무형식이 형식’이라고

  • 이철호수필가 · 한국문인협회 고문
북마크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