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창밖 까치 울음소리에눈을 뜨자 지난밤 꿈에서 뵈었던아버지가 새삼 보고 싶다20대 젊은 나이에 가난에 밀려머슴으로 팔려 온 아버지 내가 어릴 적 뵈었던 아버지는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허리 한 번 펴지 못한 채뼈 빠지게 소처럼 일만 하셨다 ‘그놈 쓸 만하네일자무식한 놈이 일은 잘 하는구나’부잣집 주인 눈에 들어 외동딸까지 내어주니
- 이규곤
오늘 아침 창밖 까치 울음소리에눈을 뜨자 지난밤 꿈에서 뵈었던아버지가 새삼 보고 싶다20대 젊은 나이에 가난에 밀려머슴으로 팔려 온 아버지 내가 어릴 적 뵈었던 아버지는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허리 한 번 펴지 못한 채뼈 빠지게 소처럼 일만 하셨다 ‘그놈 쓸 만하네일자무식한 놈이 일은 잘 하는구나’부잣집 주인 눈에 들어 외동딸까지 내어주니
봄이 오면걸어서 걸어서논두렁 밭두렁에바람의 노래들으러 가고 싶다 나그네처럼바람과 함께 놀다가들길을 느리게서성이고 싶다 차마 말 못 하고가슴에 가두어 놓았던그리움이 자꾸 돋아나면봄 햇살이 놀던 언덕그곳에 가고 싶다
산기슭 공원에 핀수줍은 풀꽃이정적 속에서미소 짓네 세파에 젖지 않는소녀 같아꽃잎을 어루만지니풀꽃의 순박한 속삭임이마음 설레도록 삶에 밝은 희망을 주네 산바람에이름 없이 떨며난초처럼 고귀함 못 받아도따뜻한 마음으로 향기를 피우는서러운 여린 풀꽃 벌에게 꿀을 주는사랑의 삶을 살아온해맑아진 풀꽃이가슴 아프도록 흐뭇하네
11월의 아침마지막 잎새 하나벌거벗은 가지 끝에 매달려불어오는 북풍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잎이 진 나무들은가진 것 다 던져버린 사람처럼담담하고 홀가분하지만지는 잎새는둥지를 뜨는 새처럼초조하고 아쉽기만 하다 잎이 지면뜨겁던 태양도그 눈부심을 잃어 가고시간은 망각의 늪으로 달려가지만 내 그리든 사람들의 가슴 적셔줄따사로운 시 몇 줄
삼복더위 땡볕이 데우고소한 대한 강추위 휘몰아쳐도흙 없는 열악함 아랑곳없이바위틈 깊이 뿌리를 박고불평불만 없이 잘 살아가는 나무 질긴 생명력으로기암 절경 틈새마다 뿌리를 박고사철 푸른 가지를 뻗어바람춤이나 덩실덩실 추어 가며늠름한 기상을 보여준다 산새들에게 사계절 소리 터를 내주며욕망 많은 사나이처럼멋쟁이 근육질 나이테를 두르고관솔의 열정
어린 날, 어른들이 안 계셔서 홀로 있는 밤, 혼자 자려니 통 잠이 오질 않았습니다. 억지로 잠을 청해 보아도 초롱초롱 정신이 더 맑아지고 두 눈은 더 말똥말똥해졌습니다. 그때였습니다. 뚫린 창틈으로 달빛 한 가닥이 소롯이 스며들어 왔습니다. 불이 꺼진 방 안, “방엔 누가 있을까” 도저히 궁금증을 참아낼 수 없었나 봅니다. 다행히 뚫린 구멍을 발견하곤 방
나이가 들어가면서 더욱 확실해지는 것이 있다. 앞서 세상을 사신 분들의 삶이 결코 나만 못한 분은 없다는 생각이다. 눈에 보이는 결과물로서가 아니다. 그분들이 살아왔던 삶의 날들은 분명 오늘의 나보다 훨씬 어려운 환경과 조건의 세상살이를 하셨다. 그런 속에서도 묵묵히 그 모든 어려움과 아픔을 감내하면서 자신의 몫을 아름답게 감당하셨던 것이다.요즘의 나나 오
“마셔 보세요!”김 원장이 내놓은 것은 투명한 유리잔이었다. 묵직했다. 그러나 무얼 마시라는 걸까. 유리컵 안엔 아무것도 담겨 있지 않았다.“마셔 보세요!”다시 독촉을 해왔다.“오전에 제가 한 번 마셨으니 가득 차 있지 않을지도 몰라요.”컵을 입으로 가져가 훅 하고 들이마셔 봤다. 향긋한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도 같았다.“햇빛이에요.”
내 문학의 산실은 어디일까. 아니 내 문학의 근원은 어디일까. 조실부모한 나는 누구나 갖는 것이 내게는 없다는 상실감이 어려서부터 내 가슴을 지배했던 것 같다. 전시에 친정으로 가신 어머니는 첫아들을 잃은 안타까움 속에서 1년 후에 나를 낳으셨단다. 나는 태어나 첫돌 때 아버지를, 세 살 때 어머니를 잃었다. 내 고향은 아버지의 고향이 아닌 어머니의 친정
내 이름으로 스무 권이 넘는 책을 냈지만 내 창작 공간에 대해선 늘 불안하다. 어떤 분들은 멋진 이름의 창작실을 소유하고 품위 있게 작품 활동을 하는데 나는 그런 공간이 없어서라기보다 게으르고 어수선하여 그러지 못하는 것 같다. 옛 선비들처럼 사실 그곳에만 들면 마음이 안정되고 머리가 맑아지고 손이 가벼워지면서 글이 슬슬 풀려나오는 곳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