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보리농사1)

한국문인협회 로고 김무원

책 제목한국문학인 이천이십오년 봄호 2025년 3월 70호

조회수21

좋아요0

아침 자셨습니껴. 쑥기니2)라도 요기(療飢)했소

모진 추위 견딘 보리 들판이 초록 들 때

소쿠리 넘치게 캐 담은 쑥보다 더 빈 쌀독

 

보리가 갓 익을 때 밭골 뛰는 아이 눈빛

깜부기 먼저 따려 간식거리 챙취다

먹을 것 아무것도 없는 춘궁기 빈농 애들

 

풋보리 바심3) 낱알 이웃끼리 나눠 먹기

보리타작 준비할 즘 장마 지면 보리 썩어

또 장리(長利)4) 반 더 얹어 갚는 일년농사 빈 가마

 

무대책 천수(天水) 소작 궁핍 굴레 대물림

곡기 숭늉 아이들께 어매는 물배 채워

청정수 샘물 넘쳐나 물 마시며 명줄 보존

 

부모님 독한 집념 “잘 살아 보세” 가난 혁파(革罷)

지금 세대 이 풍요5)를 경제 대국 밥상이래

조상의 피와 땀, 눈물 보릿고개 통곡 읽자

 

1)보리농사: 쌀농사는 저수지가 있거나 왜정 때 곡물 수탈을 위해 설치한 일부 수리시설이 있지만 전 농토에 보리를 심지 않으면 식량이 부족해 벼 타작 논에도 보리를 심었다. 보리가 일부 지주 빼곤 빈민의 절대 양식이었다.

2)쑥끼니: 쑥으로 만든 쑥밥 쑥죽 쑥털털이 쑥개떡 등.

3)풋보리 바심: 먹거리가 없어 덜 익은 보리 이삭을 덖어 갈무리한 말랑한 보리 알곡.

4)장리(長利): 한 동네에 몇 안되는 지주(부농)에게 양식을 빌려 추수해 1.5배로 갚는 빈익빈의 농촌 식량 구조.

5)이 풍요: 6·25 참화 후 국민이 똘똘 뭉쳐 세계 유래없는 한강의 기적 경제 달성(보릿고개 해결), 세계 10대 경제대국 한국 위상 업.

광고의 제목 광고의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