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5회 월간문학 신인작품상 당선작 발표 2025년 9월 175호
극진한 균형
논의 끝에 문정현 씨의 「오래된 시계」, 이병렬 씨의 「별이 번지점프를 하는 이유」, 이서주 씨의 「내 몸 속에는 저울이 살고 있다」, 천일우 씨의 「찔레꽃」 네 작품을 당선작으로 뽑았다.
문정현 씨의 시는 일상의 순환 속에서 발견해낸 이미지들의 안정적 흐름이 좋았다. “아라비아에서 아메리카로 아시아로/ 아슬아슬 아파가면서”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바라보는 화자의 시선 속에 섞여 나가는 나날들이, 매일이 그렇게 흐르고 있지만 그것은 견디어 나가는 삶이 있기에 가능해 보인다.
이병렬 씨의 시는 대화체 어조가 작품 속에 정감 어린 탄력을 보태고 있으며, 너에게 하는 말과 나에게 하는 말 사이의 반복적 말이 미적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한의 공간에서는 상처도 진공이 되어”, “소름처럼 불꽃이 돋아나 스스로 빛을 낼게”란 표현들은 매우 역동적이며 이 힘이 시의 긴장감을 이끌어 간다.
이서주 씨의 시는 상상력과 사유가 잘 어우러져 있다. “중심추가” “요동칠 때마다” “만삭의 달이 자꾸 무언가를 덜어”낸다는 표현은 시적 의미가 깊어 보이며, 우리가 비비고 있는 현실 속에서 부끄럼 없는 삶을 위한 어떤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읽혀진다.
천일우 씨의 시는 구체적이고 상징적인 화법이 특히 눈길을 끈다. “벌 나비에게 웃음 팔더니/ 가지마다 바람의 자식들이 자란다”에서 찔레꽃을 바람의 자식들로 환유한 점이 절묘하고 재미있다. 그리고 표현된 말들이 매우 사랑스럽다. 가벼운 어조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어조로 시에 생동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응모작 중 정확하고 구체적인 표현이 미숙하거나, 자신의 내면을 향한 다짐 정도에 그치거나 자조적 어조, 그리고 시적 화자가 과도하게 개입, 가치를 미리 판단하는 등의 작품들이 눈에 띄었다. 더 깊이 고민하고 열심히 쓰다 보면 좋은 작품을 쓸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네 분께 축하의 인사를 드리며, 이번에 당선되지 못한 분들은 다음 기회에 더 좋은 작품으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